제품소개
부덕실업(주)는 최고의 품질과 고정밀도 제품을 자랑합니다.
부덕실업(주)는 최고의 품질과 고정밀도 제품을 자랑합니다.
032-574-3361
평 일 AM 09:00 ~ PM 18:00
점 심 AM 12:00 ~ PM 13:00
NO | 명칭 | 재료명 |
---|---|---|
1 | 새들 | KFAC D 4302의 GCD 450-10 |
2 | 점검구 | KFAC D 4103의 SSC13 |
3 | 배수구 | KFAC D 4103의 SSC13 |
4 | 글러브 너트 | KFAC D 4103의 SSC13 |
5 | 입상관 | KS D 3595 의 STS 304 TPD |
6 | SI 소켓 | KFAC D 4103의 SSC13 |
7 | 입상관캡 | KFAC D 4103의 SSC13 |
8 | 키대 | KS D 3698 의 STS 304 |
9 | 키대보호관 | KS D 3595 의 STS 304 TPD |
10 | 핸들키대 | KFAC D 4302의 GCD 450-10 |
구분 | 종류 | 심도 (1000, 1200, 1500, 1800)mm | ||
---|---|---|---|---|
새들기구 | 관점검구 | |||
A형 (볼식) |
f (플랜지식) |
CIP (주철관용) |
75, 100, 150, 200, 250, 300, 350, 400, 450, 500, 600, 700, 800, 900, 1000, 1100, 1200 |
55mm |
SP, VP, PE (강관, PVC, PE) |
한국상하수도협회 2010년
관경800mm 이상의 관로에 대해서는 관로의 시공과 유지관리시 내부 누수공사 확인이나 br검사나 보수를 위하여 필요한 장소에 맨홀을 설치하고, 800mm 미만의 관로에는 점검구를 둘 수 있다.
시행 2012년 6월 29일-(별표3) 수도시설의 세부시설기준
상수도 관로의 필요한 위치에 수량, 수질 측정 및 점검, 보수 등 관리를 위한 점검구를 설치해야 한다.
환경부고시 제 2021-43호, 2021.02.26. 제정, 환경부(물이용기획과), 044-201-7112
제3조(적용범위)
이 고시는 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한 상수도관망시설 중 도수관로를 제외한 시설을 대상으로하며,
상수도 관망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법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고시를 적용한다.
제4조(상수도 관망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계획 수립)
① 일반 수도사업자 ssm 법 74조에 따른 상수도 관망 기술진단을실시하되그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각 호의
내용을 포함하여 상수도 관망시설의 상세 운영 및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그 내용을 법제 4조에 따른
수도정비기본계획(이하”수도정비계획”이라한다)에 반영하여야한다.
1.상수도 관망 세척(이하”관세척”이라한다)의 연차별 시행 계획
2.상수도 관망시설 점검·정비 계획
3.상수도 관망시설 정보관리 계획
제5조(관세척 시행)
① 일반 수도사업자는 제 4조 제3항에 따른 관세척을 시행할 때는 관 내부 상태를 내시경 또는 시편재취 등으로
점검ㆍ분석하여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물리ㆍ화학적 방법을 선정하여 실사화되, 관세척시 발생되는 배출수
(이하 "배출수" 라 한다)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고, 배출수에 대한 처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.
② 세척구간은 블록 또는 급수구역 단위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.
제8조(상수도 관망시설의 점검, 정비)
① 일반수도사업자는 상수도 관망시설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관로, 밸브 및 밸브실, 배수지,
가압장, 기타시설(유량계, 수압계, 수질계측기 등을 포함한다) 등에 대한 점검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해
야 한다. 부칙 제 1조(시행일)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.
관내시경 (CCTV) |
· 기존관로 및 신설관로에 부단수 천공으로 관로 내 상태를 수시점검 · 최대 1200mm 까지 관로점검이 가능(다기능 밸브: 500mm) |
|
---|---|---|
기존 : 단수, 고비용(대형변실), 지하점검
![]() |
당사 : 부단수, 저비용(중형보호통) 지상 점검
![]() |
|
관세척시 공기유입, 유출구 |
· 세척(플러싱, 맥동류, 공기세척 등)시 압축공기투입구 및 세척수 배출구 활용 · 소화전이 없는 경우 또는 소화전 위치가 부적당하여 세척이 어려운 장소 |
![]() |
관로퇴수 비상급수 수압, 채수 |
· 수계전환 작업시 또는 녹물 유입시 긴급퇴수로 적수민원 사전방지 · 유사시 비상급수 및 소화용수 대체/관내 수압측정 및 관 말단부 채수시 활용 |
|
---|---|---|
기존 : 불완전 퇴수(소화전 등), 고비용
![]() |
당사 : 완전퇴수(점검구), 저비용
![]() |
|
신설관로 설치시 |
· 신설관로에는 1개의 원형변실 내 복합설치로 비용절감 · 변실 내 점검구가 있어 관 세척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효과적임 |
![]() |
조립도 | 기본치수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![]() |
![]() |
||||||
NO | 부품명 | NO | 부품명 | 기본치수표 | |||
1 | 새들 | 1 | 입상관 캡 | H1 | H2 | H3 | H4 |
2 | 점검구 | 2 | 키대 | 기준심도 | 입상관 | 키대 | 키대보호관 |
3 | 배수구 | 3 | 키대고정판 | 1000 | 600 | 640 | 650 |
4 | 글러브너트 | 4 | 키대고정핀 | 1200 | 860 | 840 | 850 |
5 | 입상관 | 5 | 키대지지판 | 1500 | 1160 | 1140 | 1150 |
6 | SI 소켓 | 6 | 핸들키대 | 1800 | 1460 | 1440 | 1450 |